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KCD(Korea Community Day)를 다녀와서
    컴퓨터 공부 ver 0.2/세미나 정리 혹은 후기 2013. 7. 7. 15:44
    반응형

    발표자료는 http://kcd.onoffmix.com/program.php 여기서 받아볼 수 있습니다.


    -       모바일의 미래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

    n  iOS의 생태계는 망가짐

    n  모바일 개발을 할 때 도움을 받는 곳

    1.      stackover flow

    2.      GitHub를 통해서, Library를 다운받아서 코드를 본다.

    3.      코드를 decompile를 통해서 실마리를 잡아간다.

    4.      지인을 통해서

    5.      opensource를 통해서

    6.      커뮤니티를 통해서

    u  그러나 일정수준을 넘으면, 정보가 부족해지며, 정보에 대한 공유가 안 된다(그래서 내가 올려야 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CSB – Cloud Service Broker)가 가져올 클라우드 세상(장선진)

    n  brokerage

    1.     중간자 역할

    2.     가트너가 생각

    n  right scale

    1.     AWS를 관저해줌

    2.     다른 cloud서비스를 연결해 줄 수 있다.

    3.     CSB서비스의 근간이 됨

    4.     뭔지 한번 찾아볼까?

    n  프로그래밍 언어의 변화

    1.     언어의 형태에 따라, 그 특성에 따라 사용하게 된다.

    2.     Back-Endjava, CSSRuby, javascript 등 하나의 프로그램에 각각 구현되는 모듈 및 환경에 따라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n  PaaS(Platform as a Service)

    1.     PaaS 마켓이 성장하고 있다.

    2.     어떤 서비스의 사용량 등 통계를 내줄 수 있게 됐다(이게 맞나?).

    3.     App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생김

    4.     클라우드 위에서 내가 원하는 서비스를 빠르게 사용하는 방향으로 바뀜

    5.     그러하기에 누가 이런 것들(클라우드 뒤에 있는 리소스들)을 관리 할 지가 중요해짐

    n  CSB IO

    1.     점점 Cloud Service zero base를 가고 있다.

    n  Easy Cloud Service

    1.     cloud platform을 이해할 줄 아는 개발자 à 생각의 영역을 넓혀 준다.

    2.     고로 공부해야겠지?

    n  Community & Company

    1.     새로운 것을 찾아서, 모여서 함께 공부하는 것

    2.     큰 비전을 가지고 앞으로 나간다.

    n  질문시간이었음

    A.     cloud자료를 공부할 수 있는 곳

                                      i.         cloud서비스관련해서는 아직 정리가 안되어있는 상황

                                     ii.         EaaS(뭐지?): 기존 서비스를 cloud서비스로 전환(AWS Image서비스를 보면 공부할 수 있다. 그러닌까 AWS를 써봐야겠다.

    B.      Openstack, Cloudstack, 보안 솔루션(왜 적은거지?)

     

    -       오픈소스 커미터 과연 개발의 미래인가? (이희승, 김남형, 박현우, 조현종, 진성주)

    n  참여했던 오픈소스, 참여하게 된 계기

    1.     : netty work framework(library, framework)를 개발

    2.     : linux kernel

    A.     OS가 궁금해서 시작, 내가 사용하는 것들이 어떻게, 그리고 수치적으로 보고 싶어서

    B.      scheduler, file descriptor, memory영역의 소스를 직접 공부

    3.     : mpk라는 오픈소스를 진행

    4.     : parse system 개발, 올챙이라는 오픈소스 진행 중

    5.    

    A.     user grid라는 오픈소스를 진행 중.

    B.      게으름 때문에 내가 편하려고 참여하게 됨

    n  커미터가 되는 법

    1.     : 기업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커미터가 될 수없다. 기업 프로젝트에서의 커미터는 위에서 인정을 받아야 하기에

    2.     : 개인 간의 오픈소스에서는 개인간의 친분를 통해, 이 말은 신뢰를 쌓아야 한다. 실력보다는 신뢰가 중요

    3.     : 커미터가 되는 것이 곡 오픈소스에 참여하는 것만은 아니다(그래서 내 생각은 GitHub공부?).

    4.     : Linux kernel개발의 경우 참여인원이 많다. 그 중maintainer(?)활동을 활발이 하면, 커미터가 될 수 있다.

    5.     : 다른 사람의 수정 사항에 대한 활발한 review를 해주고, 또한 그 프로젝트에 대한 기술적 지식을 가지고 있고, 프로젝트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고 있어야 함

    n  오픈 소스를 하는데 있어서

    1.     : 단순히 코드만 open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코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2.     : Linux 커널. 홍보가 아직 부족

    3.    

    A.     오픈소스 재단, 비영리 단체가 하는 일

    B.      Donation에 대한 세금 문제, 각 종 기술 외적인 부분을 도와준다. 이런 커뮤니티에 참가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n  오픈소스 vs. 상용 서비스

    1.    

    A.     오픈소스를 사용함으로써, 그것을 만든 열정적인 개발자에 대한 가치를 높여주는 것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오픈소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장점이 있다고 생각함

    B.      그러나 오픈소스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의 참여가 과연 올바른가?

    C.      오픈소스의 contents가 더 중요하다.

    2.    

    A.     국가란 자국민의 이익을 보호해주어야 하는 큰 틀. 그 큰 틀을 벗어나지 않은 선에서 오픈소스 vs. 상용서비스의 구도를 말하기보다는 그 소프트웨어의 contents가 더 중요함

    B.      오픈소스에 대한 사용은 더 좋은 contents의 중점을 두고, 상용서비스는 모든 기업에 고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n  오픈소스를 하게 된 이유

    1.    

    A.     공개함으로써 누릴 수 있는 과정(프로그램이 성장해가는 과정)의 즐거움이

    B.      공개를 함으로써 프로젝트가 더 성공에 가까운 데로 가는 듯

    2.     : 다른 사람들과의 정보 공유를 위해, 그 동안의 다른 사람들에 대한 고마움에 대한 하나의 표현

    3.     : 개발을 좋아하는 개발자가 자신의 프로그램이 더 알려지는 것이 더 의미 있다(난 개발을 좋아하나?).

    n  오픈소스 vs. 회사

    1.     : 업무의 일부는 회사와 상의. 업무 외적으로는 분리가 되지 않을까?

    2.     : 비즈니스 로직이 들어가지 않은 것은 공개해도 상관없을 테고, 제품 중 수익에 영향을 주지 않은 부분의 기능이라면, 일부분을 공개하는데 있어서 회사도 이해하지 않을까?

    3.     : 이왕이면 자문을 구하는 것이 좋을 듯

    n  해외 개발자와 국내 개발자간의 의사소통의 차이점은?

    1.     : 언어적 장벽 외에는 큰 차이가 없음

    2.    

    A.     오픈소스 프로젝트 내에서는 남을 설득하는 것이 중요

    B.      코드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언어 능력 상승

    3.     : 두 개발자간의 차이는 없다. 국내 개발자의 경우 시작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용기가 필요한 듯

    4.     : 직접 해보는 것. 글 쓰는 것에도 패턴이 있다. 직접 써보고, 훈련하는 것

    n  오픈소스하면서 생긴 사람들과의 관계(갈등)

    1.    

    A.     성향의 차이가 생김 à 갈등

    B.      대화를 통해서, 내가 한 발짝 물어날 수 있는 지혜

    C.      프로젝트의 일고나성이 보장되어야. 프로젝트가 하나하나 나갈 수 있음

    D.     토론의 기법 à 합리적인 결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대화법(의식적으로 생각해서 대화하도록)

    E.      오픈소스를 함에 있어서의 매너 à 짜증을 유발하지 말자

    2.    

    A.     반복적인 질문은 옳지 않다. à 잘 정리되어 있는 문서가 있으니 그걸 잘 보도록

    B.      오픈소스 그룹 간의 대화는

                                      i.         contribution에 대한 참고 à 큰 오픈소스 프로젝트에는 잘 정리되어 있으니 한번 보면 좋을 듯

    C.      IIC라는게 있는데 live하게 communication하는데 꽤 좋은 tool이다.

    D.     프로젝트의 주최가 되는 그룹을 만들어야 한다. 모임의 중심이 되는 것이 있어야 하며, 그들을 통해서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       아키텍트의 길을 묻다. (박성선, 신연복, 강승준, 장선진)

    n  토론 중간에 들어가서 질문이 뭔지 모른다.

    1.     : 가장 초기 문서 작성이 중요하다.

    2.    

    A.     아키텍트는 철면피적인 성향이 있어야 한다.

    B.      그렇다고 아키텍트가 슈퍼맨은 아니다. 그러나 기술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C.      현재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것이 나온다. 다 알 수 없음을 인정 à 그러나 공부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전문가를 통해 배운다(know where, know who).

    n  아키텍트의 뛰어난 능력은 모든 분야의 아키텍트에게 무조건적으로 필요한 능력인가?

    1.     : 모든 분야가 그렇다. 각 분야 별로 아키텍트가 필요하다.

    2.    

    A.     (의료서비스를 예를 들면)의료서비스 또한 프로세스가 있다.

                                      i.         어떤 서비스를 진행할지, 어디에 새로운 빌딩을 건설할지 등을 위한 프로세스가 있다.

                                     ii.         이러한 프로세스가 개발 프로세스와 비슷하다.

    3.    

    A.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에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 같다.

    B.      가시성의 차이

                                      i.         하드웨어 설계는 계산에 대한 결과값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ii.         그러나 소프트웨어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à 보이는 건 사람 밖에 없다. 아키텍트를 보고, 아키텍쳐를 상상하게 된다.

    n  개발자는 아키텍트 아니면 슈퍼 개발자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1.     : 성향의 차이

    A.     아키텍트가 아이디어가 있을 때 슈퍼 개발자가 필요하다.

    B.      현재 우리나라에 필요한 건 한 분양의 슈퍼 개발자(누구에게나 멘토가 될 수 있는)

    2.     : 슈퍼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리스크를 가져야 한다.

    A.     그래야 자신의 브랜드를 완성할 수 있다.

    B.      최소 5~6년의 투자가 필요하다.

    C.      나만의 솔루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n  아키텍트가 되기 위해, 그리고 설계의 단계를 경험해 볼 수 있는 know-how?

    1.    

    A.     기본적인 틀을 잡는 것은 거의 비슷하다.

    B.      도메인 지식은 2년이면 알 수 있다.

    C.      사람의 흐름을 보고, 요구사항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n  아키텍트의 덕목. 아키텍트는 고객의 편인가? 개발자의 편인가?

    1.    

    A.     아키텍트는 App의 효율성을 위해 대립할 수 밖에 없다.

    B.      아키텍쳐는 기준이 없으면, 설계를 할 수 없다. 견정한 후, 그 다음을 고민해야 한다. à 아키텍쳐 또한 보이지 않는다.

    C.      아키텍트는 귀를 열어야 한다.

    D.     client <-> 아키텍트 <-(신뢰가 중요)-> 개발자(패턴을 중요시 함)

    E.      모든 프로젝트는 유니크하다. à client의 기준이 다 다르다.

    2.     : 아키텍트 또한 회사원이다.

    A.     시스템을 성공시켜야 한다. à 성공을 위해 조율해 나갈 수 밖에 없다.

    n  아키텍트도 하고 싶고, 개발자도 하고 싶은데

    1.     : 개발하면서 아키텍트는 어렵다. 개발하면서 큰 흐름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2.    

    A.     개발하면서, 아키텍트를 하려면 회사를 차리면 된다.

    B.      오픈소스에 참여. prototype을 만들면서

    C.      한 분야를 10년은 해야 하지 않을까?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