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p과 HashMap 클래스예전 글들/Android 2011. 5. 10. 12:45
우선 영어로 된 설명을 복사해서 보면 A Map is a data structure consisting of a set of keys and values in which each key is mapped to a single value. The class of the objects used as keys is declared when the Map is declared, as is the class of the corresponding values. (이 긴 문장을 간단히 해석하면 "Map은 키와 값들로 이루어졌고 각각의 키는 하나의 값과 쌍을 이룬다." 뭐 그런거 같군) A Map provides helper methods to iterate through all of the keys contained..
-
메뉴 만들때 참고하면 좋을 듯예전 글들/Android 2011. 5. 9. 12:05
소스 출처는 [시작하세요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 위키북스) 우선 메뉴 클래스 파일 하나 만들고 - Menu.java import java.util.SortedMap; import java.util.TreeMap; import android.app.ListActivity; import android.content.Intent;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view.View; import android.widget.ArrayAdapter; import android.widget.ListView; public abstract class Menu extends ListActivity { private SortedMap actions = new TreeMap(); @..
-
끌림 - 이병률소소한 삶의 즐거움들/간접 체험(책들) 2011. 5. 9. 11:18
사람을 센치하게 만들어버린다. 그리고 시든, 글이든 무엇인가 쓰고 싶게 만든다. 사랑을 하고 싶게 만든다. 그리고 만약 사랑을 하고 있는 분이라면 이별이 하고 싶어질지도 모르겠다. 그 이별의 아픔을 느끼고 싶어서 그리고 그 아픔을 핑계로, 아니면 그 혹은 그녀를 잊기 위해 어딘가 떠나고 싶어서 그리고 다시 돌아와 새로운 사랑을 찾고 싶어질지도. 그냥 그런 기분이 들었다. 그리고 슬펐다. 하지만 후련했다. 저자가 여행을 다니며 쓴 글이지만 이 책을 보고 무작정 여행을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그냥 멍하니 있고 싶지도 않았다. 여행을 가기 위한 핑계를 찾았다. 뭐 사실 딱히 없다. 오히려 제약만 떠올랐다. 아직 용기가 부족한 건지 아니면 아픔이 부족한 건지 구분은 안 간다. 처음 한 글자..
-
보충 자료 같은 겁니다.(패러다임, 메모리 세그먼트, 모델, 분석모델, UML)컴퓨터 공부 ver 0.1/소프트웨어 공학 2011. 5. 6. 15:01
아래는 보충 자료라 볼 수 있는데 바로 위에 있는 Unified Process(링크 걸어 놓기)를 이해하는데 참고할 만한 자료이다. 1. 패러다임 A. 패러다임: 사람이 생각을 만들고, 생각이 패러다임이 되고, 패러다임이 사람의 생각을 만들고, 그 사람의 생각이 사람을 만들고, 어떤 생각을 따르는지가 사람의 길을 만든다. 위의 말이 이해가 안 되시는 분을 위해 만들었답니다. 2. 분석 모델: 현실을 그대로 옮긴다. A. 메시지를 받는 건 “너를 어떻게 변형시켜라.” 이를 객체와 메시지로 정의할 수 있으면 된다. 3. 메모리 세그먼트(Segment:구분) 언어 A. 데이터 세그먼트: “존재”의 의미를 갖는다. 코드 세그먼트: “행위”를 의미한다. B. 명사 à 클래스를 쓰면 객체를 의미한다. 동사 à 클래..
-
Unified Process컴퓨터 공부 ver 0.1/소프트웨어 공학 2011. 5. 1. 20:21
흠....정말 오랫만에 업데이트 한다. 최대한 꾸준히 하려는데 모태 게으름이 작동했네. 이러지 말아야지. Unified Process 1. 마인드 맵 2. 내용 정리 A. Unified Process(꼭 외워야 하는 표입니다.) 시험에 두 번이나 나왔거든요. 전 아직도 안 외워진답니다. 머리가 나쁜 거죠. i. 시간을 나눈 이유 1. 목표가 있기 때문입니다. à 목표를 위해서는 계획이 있어야 합니다. 2. 시간을 나눈 때는 계획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뚜렷한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ii. 시간의 흐름의 단계(본격적으로 표에 대한 설명입니다.) 1. Inception(개념정립) A. [R -> A -> D -> I]의 과정을 반복: 몇 번을 반복하는지는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따라 그 횟수를 ..
-
눈물이라는 뼈 - 김소연소소한 삶의 즐거움들/간접 체험(책들) 2011. 5. 1. 19:55
유희열 형님의 라디오를 듣던 중 이병률([끌림]이라는 책을 쓰신 분)이라는 분이 나오셨고 그 분이 추천해 주신 시집이었다. 물론 시집을 보고 싶은 마음은 있었지만 왠지 다들 시는 어렵다. 다가가기 힘들다. 이해하려면 풍부한 상상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얘기에 나도 그렇게 장벽을 하나하나 쌓았고, 그래서 읽으려는 생각을 못했다(물론 그랬지만 그렇다고 이 책을 읽고나서 시의 내용이 우리가 살아가는 삶과 동떨어져 있지는 않다는 생각을 하게 해주었다.). 아직 변변치 않은 벌이로 쉽게 쉽게 책을 살수 없는 현실의 벽이 있는지라 도서관에서 빌려봤다. 물론 어쩌면 운이 좋게 내가 처음 펴 본 사람인 듯했고, 도저히 책을 접어 볼 수 없어 조심스럽게, 조금은 불편하게 책을 봤다(그래서 사서 소장하기로 했다). 물론..